제 15회 창의력 글쓰기 대회 수학 일기 대상
와이즈만 영재교육 안산고잔센터 2학년 이태이
![](https://cdn.imweb.me/upload/S20220915c2d407a07faae/536a0e0c0bf2f.jpg)
나는 와이즈만 단원 중에 쌓기나무의 앞,옆,위 모양을 보고 전체 모양을 알아보는 단원이 제일 재미있었다. 그래서 책을 살펴 보던중 갑자기 떠오르는게 있었다. 난 평소에 외할머니 댁에 자주 사시는 아파트는 너무 높고, 커서 가는데, 외할머니께서 한번도 건물 전체의 모습을 본적이 없었다. 그래서 이건물의 앞, 옆, 위 모습을 따로 따로 살펴보고 전체 모습을 쌓기나무로 만들어 알아보기로 했다. 앞, 옆 모습은 직접 사진으로 찍었고 윗 모습은 인터넷으로 찾아 보았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915c2d407a07faae/d55afcee18873.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915c2d407a07faae/bbddb80764124.jpg)
외할머니 댁 아파트는 이러한 전체 모양이 나왔다.
한면이 3집씩 47층, 또한 면이 3집씩 47층 3X47=141, 3×47=141, 141+141=282
전체 282 집이 살고 있었다.
이렇게 많은 집이 살고 있었다니! 참 거대했다.
다음엔 더 크고 복잡한 건물도 알아보고 싶다.
[심사평] 이태이 학생은 <도둑이 들었어요!>에서 쌓기나무로 만든 모양의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을 보고 전체 모양을 찾는 방 법과 쌓기나무의 수를 구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일기를 작성하였습니다. 이태이 학생의 수학일기는 수업 시간에 탐구한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수학의 유용성을 잘 나타내어 주었습니다. 특히 외할머니 댁 아파트 건물의 전체 모습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의 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수집하였고, 아파트 전체의 모습을 알아낸 과정을 일기에 잘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건물의 한 면에 해당하는 아 파트 층수와 1층의 가구 수를 이용하여 전체 가구 수를 구하는 부분까지 생각하여 해결한 것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더 큰 건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다고 하였는데, 앞으로도 일상 생활과 수학을 연관 지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궁 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수학을 탐구하는 이태이 학생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915c2d407a07faae/a301bc8c548b2.jpg)
![](https://cdn.imweb.me/upload/S20220915c2d407a07faae/2c036f71a1d5e.jpg)
나는 와이즈만 단원 중에 쌓기나무의 앞,옆,위 모양을 보고 전체 모양을 알아보는 단원이 제일 재미있었다. 그래서 책을 살펴 보던중 갑자기 떠오르는게 있었다. 난 평소에 외할머니 댁에 자주 사시는 아파트는 너무 높고, 커서 가는데, 외할머니께서 한번도 건물 전체의 모습을 본적이 없었다. 그래서 이건물의 앞, 옆, 위 모습을 따로 따로 살펴보고 전체 모습을 쌓기나무로 만들어 알아보기로 했다. 앞, 옆 모습은 직접 사진으로 찍었고 윗 모습은 인터넷으로 찾아 보았다.
외할머니 댁 아파트는 이러한 전체 모양이 나왔다.
한면이 3집씩 47층, 또한 면이 3집씩 47층 3X47=141, 3×47=141, 141+141=282
전체 282 집이 살고 있었다.
이렇게 많은 집이 살고 있었다니! 참 거대했다.
다음엔 더 크고 복잡한 건물도 알아보고 싶다.
[심사평]
이태이 학생은 <도둑이 들었어요!>에서 쌓기나무로 만든 모양의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을 보고 전체 모양을 찾는 방 법과 쌓기나무의 수를 구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일기를 작성하였습니다.
이태이 학생의 수학일기는 수업 시간에 탐구한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수학의 유용성을 잘 나타내어 주었습니다. 특히 외할머니 댁 아파트 건물의 전체 모습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의 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수집하였고, 아파트 전체의 모습을 알아낸 과정을 일기에 잘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건물의 한 면에 해당하는 아 파트 층수와 1층의 가구 수를 이용하여 전체 가구 수를 구하는 부분까지 생각하여 해결한 것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더 큰 건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다고 하였는데, 앞으로도 일상 생활과 수학을 연관 지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궁 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수학을 탐구하는 이태이 학생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