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만 친구들의 기발하고 창의력 넘치는 작품을 소개합니다

창의력 글쓰기 대회

와이즈만 친구들의 기발하고

창의력 넘치는 작품을 소개합니다

창의력 글쓰기 대회

16회[수학일기] 주스를 옮긴 방법을 간단하게 알고리즘으로 나타내면

창의력 글쓰기 대회 수학일기 최우수상
와이즈만 영재교육 과천센터 4학년 최성민


이번 수업을 통해 대충 알고 있었던 순서도와 알고리즘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순서와 방법을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주스를 옮긴 방법을 간단하게 알고리즘으로 나타내면

① 오렌지 병에 담긴 주스를 빈 병에 옮긴다.

② 딸기 병에 담긴 주스를 오렌지 병에 옮긴다.

③ 포도 병에 담긴 주스를 딸기 병에 옮긴다.

④ 빈 병에 담긴 주스를 포토 병에 옮긴다.


순서도에 쓰이는 기호도 알게 되었다.

기호명칭의미
단말순서도의 시작과 끝을 나타냅니다.
흐름선각 기호를 연결하며, 순서도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처리계산 등 자료의 연산 또는 처리를 나타냅니다.
판단조건을 판단하여 '예' 또는 '아니요'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나는 순서도의 의미도 알게되었다. 순서도란 약속된 기호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우박수(hailstone number)도 알게되었다.

우박수라는 말의 뜻은 1937년, 독일의 젊은 수학자 로타르 콜라츠가 제시한 문제에서 수가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다가 어느 순간 계속 작아져서 1이 되는 모습이 마치 우박이 구름 속에서 오르내리며 자라다가 땅 위로 떨어지는 모습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나는 이 표현이 재미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더 알고 싶은 점은 순서도의 기호를 쓸 때 최대한 적게 쓰면 순서도를 읽기 더 쉬울까? 어려울까? 기호를 20개 만들어서 순서도에 나타내면 읽는데 몇 분이 걸릴까? 나는 이 두 가지가 궁금하다.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



0 0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219 나노빌딩 3,5F
대표전화 : 02-2033-8800  
 |   사업자등록번호 : 114-81-84574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08-서울서초-0811호

Copyright (c)창의와탐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