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 글쓰기 대회 수학일기 최우수상
와이즈만 영재교육 창원상남센터 5학년 이채영
입체도형의 전개를 하였다. 전개도란 입체의 표면을 잘라서 평면 위에 펼쳐놓은 모양을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내가 입체도형의 전개를 하면서 더 정확하게 알게 된 것은 정육면체의 전개도가 모두 11개라는 것이다. 직육면체와 적육면체의 이름이 왜 이럴까? 생각해보면 정답을 찾을 수 있다. 직육면체와 정육면체라고 부르는 이유는 직사각형과 정사각형 6개로 둘러싸인 도형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직육면체와 정육면체의 이름을 수학적으로 붙인 것이 참 대단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입체도형의 전개도 ②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전개도 문제는 전개도 문제 해결하기 ①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 안에 물을 반만 채웠습니다.
물이 닿은 부분을 전개도(밑면의 위치)에 나타내려고 합니다. 물음에 답해보시오
(1) 각면에서 물이 닿은 모양을 설명해 보면
① 밑면은 물이 모두 있다. ② 옆면은 물이 반만 닿아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다음 모양의 전개도에 물이 닿은 한 면을 색칠하였다. 물이 닿은 나머지 면을 모두 찾아 ○표를 해본다.
☆과 닿은 면
☆과 평행한 면 - 물이 없다.
→ 물이 닿은 면 - 5개
(3) (2)의 전개도를 접었을 때 색칠된 면의 파란색 선과 만나는 나머지 모서리 하나를 찾아 같은색으로 나타내어 본다. ㉠ 모서리가 만난다.
(4) 물이 닿은 부분을 (2)의 전개도 나타내어 본다.
입체도형 전개도 (1)에서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접을 때 서로 만나는 선분을 찾아 전개도에 같은 색으로 나타내어 보는 것이 다양하게 쓰이는 것 같고, 서로 연결되어서 하나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흥미롭다는 생각을 했다.
이 문제를 배우니깐 물이 닿는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어서 배운 보람이 있는 것 같아서 뿌듯하기도 하고 기분이 좋았다.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좀 더 자세하고 꼼꼼하게 다양하게 더 파고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
입체도형의 전개를 하였다. 전개도란 입체의 표면을 잘라서 평면 위에 펼쳐놓은 모양을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내가 입체도형의 전개를 하면서 더 정확하게 알게 된 것은 정육면체의 전개도가 모두 11개라는 것이다. 직육면체와 적육면체의 이름이 왜 이럴까? 생각해보면 정답을 찾을 수 있다. 직육면체와 정육면체라고 부르는 이유는 직사각형과 정사각형 6개로 둘러싸인 도형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직육면체와 정육면체의 이름을 수학적으로 붙인 것이 참 대단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입체도형의 전개도 ②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전개도 문제는 전개도 문제 해결하기 ①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 안에 물을 반만 채웠습니다.
물이 닿은 부분을 전개도(밑면의 위치)에 나타내려고 합니다. 물음에 답해보시오
(1) 각면에서 물이 닿은 모양을 설명해 보면
① 밑면은 물이 모두 있다. ② 옆면은 물이 반만 닿아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다음 모양의 전개도에 물이 닿은 한 면을 색칠하였다. 물이 닿은 나머지 면을 모두 찾아 ○표를 해본다.
☆과 닿은 면
☆과 평행한 면 - 물이 없다.
→ 물이 닿은 면 - 5개
(3) (2)의 전개도를 접었을 때 색칠된 면의 파란색 선과 만나는 나머지 모서리 하나를 찾아 같은색으로 나타내어 본다. ㉠ 모서리가 만난다.
(4) 물이 닿은 부분을 (2)의 전개도 나타내어 본다.
입체도형 전개도 (1)에서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접을 때 서로 만나는 선분을 찾아 전개도에 같은 색으로 나타내어 보는 것이 다양하게 쓰이는 것 같고, 서로 연결되어서 하나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흥미롭다는 생각을 했다.
이 문제를 배우니깐 물이 닿는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어서 배운 보람이 있는 것 같아서 뿌듯하기도 하고 기분이 좋았다.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좀 더 자세하고 꼼꼼하게 다양하게 더 파고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