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5회 창의력 글쓰기 대회 수학일기 최우수상
와이즈만 영재교육 동탄센터 6학년 이준혁

내가 가장 어려워 했던 삼각비에 대하여 써보려 한다. 삼각비는 ∠B의 크기가 90° 인 직각삼각형에서 시작된다. 이 직각삼각형 ABC에서

한 예각의 크기가 같은 모든 직각삼각형들은 서로 닮음이기에 대응변의 길이의 비는 같다. 즉, 서로 닮음인 삼각형들은 삼각비도 같다는 것이다.
또한 직각삼각형 에서 삼각비를 구할 때 삼각비를 구하고자 하는 각에 따라 높이와 밑변이 달라진다.
이때 삼각비를 구하려는 각의 대변이 높이가 된다.
삼각비에는 삼각비가 정해져 있는 특수각들이 있다. 30°, 45°, 60°이다.

삼각비를 이용하여 한예각과 한 변의 길이를 알면 남은 두변을 알 수 있다.

경사도와 떨어져 있는 거리를 알면 아무리 높아도 높이를 구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길이를 알아야 넓이를 구할 수 있었지만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


내가 가장 어려워 했던 삼각비에 대하여 써보려 한다. 삼각비는 ∠B의 크기가 90° 인 직각삼각형에서 시작된다. 이 직각삼각형 ABC에서
한 예각의 크기가 같은 모든 직각삼각형들은 서로 닮음이기에 대응변의 길이의 비는 같다. 즉, 서로 닮음인 삼각형들은 삼각비도 같다는 것이다.
또한 직각삼각형 에서 삼각비를 구할 때 삼각비를 구하고자 하는 각에 따라 높이와 밑변이 달라진다.
이때 삼각비를 구하려는 각의 대변이 높이가 된다.
삼각비에는 삼각비가 정해져 있는 특수각들이 있다. 30°, 45°, 60°이다.
삼각비를 이용하여 한예각과 한 변의 길이를 알면 남은 두변을 알 수 있다.
경사도와 떨어져 있는 거리를 알면 아무리 높아도 높이를 구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길이를 알아야 넓이를 구할 수 있었지만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작품 원본 보기 ▽ ]
이 작품은 와이즈만 영재교육과 와이키즈에서 개최하는 ‘수학・과학 창의력 글쓰기 대회’ 에 출품된 작품입니다.